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Tags
more
Archives
Today
Total
관리 메뉴

UXUI 공부기록

팀 과제 리서치: 쿠팡플레이와 경쟁 서비스 분석 본문

카테고리 없음

팀 과제 리서치: 쿠팡플레이와 경쟁 서비스 분석

까삐바라 2024. 7. 1. 16:09

쿠팡플레이의 주요 경쟁사:

  1. 넷플릭스 (Netflix):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스트리밍 서비스로, 한국에서도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와 인기 드라마, 영화를 제공하며 많은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2. 티빙 (Tving): CJ ENM이 운영하는 국내 스트리밍 서비스로, 다양한 드라마와 예능 프로그램, 스포츠 중계 등을 제공.
  3. 웨이브 (Wavve): SK텔레콤과 SBS, KBS, MBC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스트리밍 플랫폼으로, 지상파 방송사의 콘텐츠를 포함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
  4. 디즈니+ (Disney+):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등의 인기 콘텐츠를 제공하는 스트리밍 서비스로, 한국 시장에서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5. 왓챠 (Watcha): 영화와 드라마 리뷰 및 추천 시스템이 강점이며, 다양한 국내외 콘텐츠를 제공.

이들 서비스는 각기 다른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쿠팡플레이는 스포츠 생중계와 독점 콘텐츠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쿠팡플레이, 넷플릭스, 티빙, 웨이브, 디즈니+, 왓챠 비교

콘텐츠 라인업

넷플릭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은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으며,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에 주력하고 있음.
디즈니+: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등 강력한 IP를 보유하고 있어 어린이/가족 대상 콘텐츠가 풍부함.
티빙, 웨이브: 국내 방송사 콘텐츠를 중심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에 노력 중.
쿠팡플레이: 국내 방송사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만, 전반적인 콘텐츠 라인업이 부족한 편. 그렇지만 스포츠 생중계와 SNL과 같은 독점 콘텐츠 확보에 노력중이며, 이용자의 반응이 긍정적인 편이다.
왓챠: 독립/예술 영화 등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제공하지만, 대중적인 인기 콘텐츠는 상대적으로 부족.


화질 및 기능

넷플릭스, 웨이브, 디즈니+: 4K, HDR 등 고화질 지원
티빙, 쿠팡플레이, 왓챠: 화질 및 기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편


오리지널 콘텐츠

넷플릭스: 글로벌하게 다양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하며, 이를 통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음.
디즈니+: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등의 IP를 활용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제작 중.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왓챠: 국내콘텐츠 위주, 오리지널 콘텐츠 확보에 노력 중이지만 위 두개에 비해서는 부족한 편.

 

토종OTT 1위 고지전…쿠팡플레이 vs 티빙

쿠팡플레이가 티빙을 제치고 토종OTT1위를 달성

성공의 이유:

1. '어느 날', '안나', '소년시대'와 같은 오리지널 시리즈의 흥행

2. 스페인 '라리가’와 독일 ‘분데스리가’ 등 유명 축구 리그를 포함한 다양한 스포츠 경기를 독점으로 중계하며 스포츠 경기 팬층도 유입하는 데 성공

 

티빙도 경쟁에 맞서기위해 오리지널컨텐츠 유치와 스포츠 독점중계 계약을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쿠팡플레이에 비해 부족했으며 그과정에서 적자가 많이 생김. 웨이브와 합병중에 있지만, 웨이브도 비슷한 상황이기때문에 두 서비스의 합병에 대해 긍정적이지 않은 시선이 있다.

 

참고자료

1: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3342

2: https://www.digital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03342)

3: https://m.ddaily.co.kr/page/view/2024062418565644510


구독료 (월 단위)

디즈니+(9900~13900), 웨이브(9000~16000): 상대적으로 구독료가 높은 편
왓챠(7900~12900): 보통인 편
넷플릭스: 광고를 포함한 저렴한 플랜(5500), 스탠다드(13500), 고화질(17000), 지속적인 구독료 인상으로 부담이 증가, 구독료가 너무비싸다는 의견이 많음, 티빙도 똑같은 요금제를 가지고있으며 저렴한 광고플랜은 티빙이 최초로 시작, 넷플릭스가 똑같은 요금제 도입으로 경쟁구도가 됨.

쿠팡플레이: 4990>7890 한번의 구독료로 쿠팡의 다른 서비스 (쿠팡, 쿠팡이츠)와 함께 사용할수있다는게 가격면에서 굉장히 합리적이게 느껴지지만, 최근 58%라는 큰 폭의 구독료 증가로인해 사용자 동향이 어떤식으로 변할 지 지켜보아야 한다.

 

쿠팡플레이의 최근 58%구독료 인상에대한 이용자 반응 기사들 참고자료

부담된다vs여전히 저렴, 해지vs그래도 혜택 크다 의 반응이 갈리고 있으며, 구독료 변경이 매우 최근 일어난 일이므로 이용자 유치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참고기사

1. https://www.mk.co.kr/news/business/10989182

2. https://www.sedaily.com/NewsView/2D7VUYMHN8

3.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41277231

 

사용자 경험

넷플릭스: 사용자 맞춤형 추천 기능과 앱 사용경험이 우수한편
왓챠: 큐레이션 기능이 우수함
티빙, 웨이브, 쿠팡플레이: 사용자 경험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부족 (기능적인면의 불편함을 호소하는 리 뷰가 꽤 있는것으로 보인다)


 

신규 이용자 유입 이유

 

 

서비스 별 콘텐츠

 

서비스의 장점

 

 

서비스의 단점

 

 

자료출처: https://blog.opensurvey.co.kr/article/ott-2023-2/